popular
-
고구마 말랭이 만드는 방법 3종 비교
고구마 말랭이 말랭이, 채소 따위를 말린 것을 의미하는데, 북한에서는 남새말리라고 한단다. 뭔가 말려 비축해 둔다니 고구마의 옛 별명이 떠오른다. 어지간하면 수확할 수 있어 흉년에도 먹을 수 있는 작물, 구황작물(救荒作物) 말이다. 물론 수입 농산물 판치는 요즘 우리에겐 딴 세상 얘기처럼 들리지만... 집에 고구마가 많이 있기도 해서, 구황작물스럽게 고구마 말랭이를 만들어 보기로 했다. 고구마 말랭이 만드는 방법 인터넷으로 고구마 말랭이 만드는 방법을 찾아봤더니, 식품건조기를 이용한 경우가 가장 많고, 전자레인지, 오븐, 에어프라이어 등이 거의 비슷하게 나오더라. 원조는 자연건조라 하면서도, 어찌 된 일인지 자연건조 방식으로 만드는 얘기는 거의 없었다. 아마도 말릴 곳도 마땅치 않고, 너무 오래 걸려, ..
2021.01.01
-
리퍼 사용자 가이드 - 0. 요약 번역을 시작하며(목차 포함)...
1. 뭘 하겠다는 건지? 이 카테고리의 글들은 리퍼 공식 홈페이지의 사용자 가이드(Up and Running: A REAPER User Guide v 6.81)를 적당히 요약 번역한 것들로 채워질 예정이다. 이 글을 찾아 들어온 님들은 대개 DAW라는 것이 뭔지, 리퍼가 뭔지도 알고, 수많은 DAW 들 중에서도 리퍼에 관심이 있어서 찾아왔을 것이다. 나도 그렇다.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덜 이쁘고, 복잡하고, 한국어 자료가 별로 없다는 리퍼의 단점은 조기 손절을 부르는 막강한 장벽이 된다. 그래서 그걸 유유자적 극복해 보려고 이 프로젝트를 시작한다. 막상 해 봐야 확실해지겠지만, 일단 현재 생각은 제대로 번역도 아니고, 전체 내용을 다루지도 않을 것이다. 다만 가능한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이건 필요하겠다..
2023.10.11
-
리퍼 사용자 가이드 - 1-1. 설치, 업데이트, 제거
1.1. 리퍼 다운로드 리퍼를 설치하기 위해 우선 공식 홈페이지에서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한다. 1.2. 맥 OS에 리퍼 설치하기 여기서는 윈도우 10 설치 과정만 다룬다. 맥 OS 설치 과정은 공식 설명서를 참고한다. 1.3. 윈도우 PC에 리퍼 설치하기 1. 설치 파일을 찾는다. 2. 더블 클릭 등으로 설치 과정을 시작한다. 3. I Agree 단추를 클릭한다. 4. 보통의 설치 과정이라면 기본 제공 폴더를 그대로 선택한다. 그 외에 아래 노트를 참고한다. 5. 필요하다면 Portable install 옵션을 선택하고 Next 단추를 클릭한다. 관련해서 아래 노트를 참고한다. 6. 모든 설치 요소들을 다 선택한다. 리퍼는 아주 가볍고 작다. Install 단추를 클릭한다. 7. 설치 과정이 끝나길 기..
2023.10.13
-
적외선 온도계 알고 사용하기
편리한 적외선 온도계 비접촉 적외선 온도계는 정말 편리하다. 요즘 접촉식 온도계는 알람 기능이 있는 경우가 있어 요긴하긴 하지만, 음식 등에 쇠침 꽂자니 뭔가 꺼림칙하기도 하고, 뜨거운데 바싹 다가가 온도 재기가 겁날 때도 있다. 또한 보통 접촉식 온도계는 상대적으로 긴 측정 시간이 필요하다. 이에 반해 적외선 온도계는 멀찌감치서 레이저 쏘듯 스위치만 당기면 바로 표면 온도를 알 수 있으니 아주 편리하다. 한데 마술처럼 닿지도 않은 채 어떻게 온도를 재는지,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그리고 정확할지, 예를 들어 거리나 재질에 따라 온도가 막 변하는 건 아닐지, 레이저가 위험하지는 않을지 등등, 이런저런 것들이 궁금할 수도 있겠다. 해서 비접촉 적외선 온도계의 원리, 사용방법 등을 조사해 정리하고, 이왕 ..
2021.01.12
-
리퍼 사용자 가이드 - 2-1. 프로젝트 설정
이번 장에서는 리퍼 프로젝트 파일에 대한 기본적 내용을 다룰 것이다. 파일들을 열고 닫고, 리퍼 작업 환경을 탐색하고, 트랙과 오디오 이펙트들을 다루는 등의 내용을 다룰 것이다. 이 설명서 전반에 사용될 예제 프로젝트는 All Through The Night이며, 여기에 첨부해 놓는다. 2.0. SWS 익스텐션 All Through The Night 데모 프로젝트를 열면 Project Load Warnng 대화상자가 뜨게 된다. 이것은 데모 프로젝트가 SWSAUTOCOLOR 익스텐션 기능을 요구하는데, 아직 이 익스텐션이 설치가 되어있지 않아서이다. 따라서 여기서 SWS 익스텐션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리퍼의 화면은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무료 익스텐션인 SWS 패키지는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2023.11.02
-
리퍼 사용자 가이드 - 2-2. 재생, 내비게이션
2.3. 트랜스포트 바 만약 트랜스포트 바가 보이질 않는다면 View > Transport 명령을 이용하거나 단축키 Ctrl + Alt + T를 이용해서 보이게 한다. 트랜스포트 바의 모습이 정확히 똑같지는 않아도 대략 아래 그림과 같을 것이다. 처음 네 단추는 일반적이다. 처음으로 가기, 마지막으로 가기, 녹음과 재생이다. 그 뒤에는 루프 반복하기를 켜고 끄는 단추이고, 다음은 중지(Stop)와 멈춤(Pause) 단추이다. 중지는 재생을 중지하고 재생을 시작했던 위치로 커서를 되돌린다. 멈춤은 그냥 재생만 멈추기만 하고 커서를 되돌리지 않는다. 녹음 단추를 클릭하면 녹음을 시작하고, 다시 클릭하면 녹음을 중지하는데, 재생을 멈추지는 않는다. 하지만 녹음 중에 중지 단추를 누르면 재생과 녹음을 모두 중지..
2023.11.03
-
리퍼 사용자 가이드 - 1-2. 시작하기, 화면구성
1.9. 리퍼 시작하기 바탕화면에서 아이콘을 더블클릭해서 리퍼를 시작한다. 이 과정도 단축키로 지정할 수 있는데, 바탕화면 아이콘의 속성 창을 열고 바로 가기 탭의 바로 가기 키(K)에 등록시킬 수 있다 (윈도우 10). 'select your audio device' 창이 나타나면, 여기서는 일단 No를 선택한다. Purchases 창이 보이면 대략 5초 정도를 기다려, Still Evaluating 단추가 활성화된 후 이걸 클릭한다. 1.10. 리퍼 화면 설명 리퍼가 시작되면 아래와 비슷한 (그러나 같지는 않은) 화면이 나타난다. 아래 그림은 아주 간단한 프로젝트 파일을 열었을 경우의 예시이다. 1.10.1. The Menu Bar 거의 맨 위에는 메인 메뉴가 보인다.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처럼 메..
2023.10.24
-
할리갈리 쉽게 정리
할리갈리, 귀여운 막장 게임 그간 꼼짝 마 집콕 생활에 아이가 좋아할 만한 다양한 게임을 함께 해봤다. 그러고도 다시 아이를 위한 새 게임을 찾아 웹 기슭을 어슬렁거리는 한 마리 하이에나가 되어 헤매던 중,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다. 아니, 어차피 같이 할 건데, 나도 재밌는 걸로 하면 안 되나? 그래서 골랐다. 할리갈리 익스트림이라는 귀여운 막장 게임을. 할리갈리, 아미고라는 회사에서 만든 카드게임의 하나다. 스위치가 달린 종 하나에 카드들뿐, 규칙은 간단한데도 치열한 수싸움에 긴장감을 놓을 수 없는 스피디한 진행, 남녀노소 모두가 즐길 수 있어 보드 게임방에서도 권한다는 게임이다. 나무위키는 ‘피를 말리고 손도 부수는 막장 게임’이란 변태스러운 설명까지 붙여 놨다. 할리갈리 익스트림 할리갈리, 지난 ..
2021.02.18
-
아몬드 브리즈 비교와 수백 가지 활용 레시피까지
아몬드 브리즈 최근에 아몬드 브리즈(Almond Breeze, 알몬드 아니고 아몬드)라는 것을 알게 됐다. 간단하게 서양 땅콩인 아몬드를 갈아 물과 혼합한 음료로, 일종의 서양 땅콩국이라 하겠다. 소젖과는 1도 상관없지만, 그 색과 질감이 우유와 비슷해 아몬드 밀크라고도 부른다는데, 먹는 방법도 주로 시리얼에 타 먹거나, 과일로 스무디를 만들거나, 커피나 빵 등의 다양한 요리에 우유 대용으로 쓰인다고 한다. 물론 주로 서양에서 말이다. 한데 아몬드 밀크라고도 한다지만, 아몬드 브리즈는 우유와는 다른 특징들이 있다. 우선 당연하게도 절대! 우유가 아니라는 점이다. 순전히 아몬드를 갈아 만든 순 식물성 음료이다. 견과류 음료이니, 채식주의의 끝판 왕이라 할 수 있는, 비건보다 더한 프루테리언(Fruitari..
2020.12.21
-
약단밤 군밤 만들기 6종 비교
약단밤? 보통 밤과는 다르게, 구우면 껍질이 톡톡 쉽게 까지고 달기까지 해서 군밤 만들기 좋은 약단밤이 인기란다. ‘약단밤? 이게 뭐지? 밤과는 다른 건가?’?’ 궁금증이 도진다. 국내 포털과 구글 신에게까지 물어봐도 쇼핑과 레시피만 나올 뿐 별로 정보가 없다. 포기(Porgy)는 베스(Bess)에게 맡겨놓고(조지 거슈윈), 불굴의 의지로 이리저리 헤매보니 그래도 몇 가지 힌트를 얻을 수가 있었다. 우선 누군가의 글을 보니 약단밤은, ‘우리나라 산밤과에 속하는 자연산 단밤으로 추운 지방에서 나와 껍질이 얇고 당도가 높다’고 한다. 한데, 산밤과? 밤나무(Castanea crenata)는 참나무과 밤나무속인데? 산밤과라는 말은 사실과 다른 듯하고, ‘산밤’이니 ‘자연산’이라는 말을 쓰는 것을 보니, 아마도..
2021.02.03